항만 산업업계 모두가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상생기반 구축 노력

부산항에 민간기업의 창의성·자율성을 기반으로 항만 개발 및 관리·운영에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부산항만공사(BPA)가 올해로 창사 16주년(2004.1.16 설립)을 맞이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항만공기업으로 설립된 부산항만공사는 글로벌 해운항만물류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뉴욕.뉴저지항만공사, 싱가포르의 PSA, 네덜란드 로테르담항만공사 등과 같은 PA(Port Authority)제도를 부산항에 도입하였고
인천, 울산, 여수·광양에도 순차적으로 PA가 설립, 항만에도 공기업관리체제가 시작되었다.

==창립 후 16년간의 성과

지난 16년간 부산항만공사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왔다. 2004년 임직원 106명, 자산 3조4,556억원, 예산 1,434억 원에서 출발하여 2020년 1월 기준 임직원 255명(140.6%), 자산 5조 9,325억원(71.7%) 및 창사 이래 예산 1조원 시대(1조 50억원(600.8%)를 맞이하는 등 크게 발전하였다.

조직은 3본부 15개 부서에서 3본부 2사업단 23개 부서로 확대되었고 일본, 중국, 유럽, 미국, 베트남에 다섯 개의 대표부도 두고 있다.

컨테이너물동량은 2004년 1,041만TEU에서 2019년 2,195만TEU를 기록하여 2배 이상 크게 늘었다.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한-일 무역 갈등 등의 불안정한 대외 여건 속에서도 메가허브포트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지켜낸 것이다.

부산항을 거쳐 일본, 중국, 미국 등 제3국으로 향하는 환적화물의 경우 2004년 1월 기준 425만TEU(환적비중 40.8%)에서 2019년 1,162만TEU(환적비중 52.9%)로 증가하여 총 737만TEU가 늘어났으며, 환적화물을 처리해 벌어들인 부가가치는 2004년 5,015억원에서 2019년 1조 7,430억원(환적 1,162만개*15만원)으로 247.6% 증가하여 항만을 통한 경제적 효과는 막대함을 알 수 있다.

Drewry 발표에 따르면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만(동북아 1위 환적중심항만)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지난해 UNCTAD(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가 발표한 글로벌 항만 연결성 지수에서 부산항이 3위를 차지하는 등 부산항은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환적중심항만으로 지속 성장해 나가고 있다.

시설 측면에서 보면 2004년에는 총 20개의 컨테이너 선석에서 환경변화에 맞춘 적기의 항만인프라 공급을 통해 2019년 기준 총 40개의 컨테이너 선석으로 개발·운영되고 있으며, ‘컨’선박 접안시설 길이는 2004년 5.7km에서 2019년 12.5km로 2.2배로 증가하였다.

2004년 부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6개사)의 근로자는 2,848명이었으나 2019년 전용부두(8개) 근무자는 5,635명으로 2,787명이 늘어났다. 물동량 성장에 따라 추후 부산항 신항 서컨 3단계 컨테이너 부두까지 확대 건설될 시 항만 건설 부문에도 연간 약 7,000여명의 고용창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항에 입항하는 선박 수는 2004년 13,203척에서 2019년에는 19,744척으로 6,541척 늘어나 49.5% 증가하였다. 이 중 5만 톤급 이상 선박은 2004년 1,691척에서 2019년 4,467척으로 2,776척 늘어 약 164.2% 증가하였다.
부산항이 초대형선박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항만시설을 갖춰 글로벌물류중심기지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1990년대 초부터 항만은 화물을 싣고 내리는 단순 하역기능에서 나아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종합 항만기능으로 변모했다.

싱가포르항, 로테르담항 등이 발 빠르게 컨테이너터미널 부근에 항만배후단지를 개발하고 경제자유지역으로 지정하여 항만을 종합물류 중심기지로 육성하는 개발 전략을 시도하였다.

BPA가 출범한 2004년에는 배후물류단지가 전무하였으나, 2019년에는 배후물류단지 419만㎡에 67개 업체(근로자 수 2,759명)가 190만TEU의 물동량을 처리하여 4,300억원(’19년 추정)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에 기여하는 곳으로 발전하였다.

다만 신항 배후물류단지의 경우 화물의 조립·가공·분류 등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당초 조성 목적과 달리 대부분 단순 창고기능을 하고 있어 앞으로 더 다양한 부가가치활동의 공간으로 변모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부산항 크루즈 산업 발전을 살펴보면, 2004년 18회 입항, 약 6,400명의 관광객이 2019년에는 108회 입항, 약 189,000명 방문하여 약 30배 증가하였고, 일본 및 대만항만·선사-부산관광공사-지자체 등과의 협력을 통한 크루즈 다모항 상품 확대, 항공연계 Fly&Cruise 상품 개발 등의 꾸준한 노력을 통해 부산항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크루즈항만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크루즈 팝업 마켓 운영으로 지역 소상공인, 예술가의 판로개척 및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등 크루즈 수요를 기반으로 선용품, 선박수리 등 연관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어 크루즈 산업분야의 무궁한 성장 잠재력이 기대된다.

그간 부산항의 위상에 비해 영세하고 열악한 항만관련산업은 서비스 개선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관련산업 발전계획 수립하였으며 상생펀드 60억을 지원하는 등 관련산업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 중에 있다.

이로써 부산항은 항만의 하역기능 이외에 배후물류단지와 크루즈산업, 항만산업 등의 항만관련산업이 동반 성장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부산항은 항만뿐만 아니라 항만관련산업이 동반성장하는 부가가치 창출형 종합물류항만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내 최초 항만재개발사업이자 한국형 뉴딜 국책사업인 북항재개발사업(2008년~2022년)에 총 8조 5천억원을 투입하여 153만㎡(46만평)에 상업업무지구, 해양문화지구, IT.영상전시지구, 친수공원 등을 개발하여 부산 원도심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31.5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약 12만명의 고용창출효과가 예상된다.

특히, 재개발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 공약임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사업으로 2022년 기반시설 완공을 목표로 BPA에서 좀 더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사람이 붐비고 활력이 넘치는 시민들의 공간으로 변신해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부산항의 성과지표들은 지난 16년간 부산항만공사가 항만시설을 적기에 확충하고, 운영체제의 혁신, ITT 개선,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의 지속 확장을 통한 신규화물집화능력을 강화함으로써 얻어낸 값진 결과물들이라 평가된다.

‘19년 주요성과(국내외 인증실적 등)

2018년 8월 28일 제6대 사장으로 취임한 남기찬 사장은 취임한 이래 약 1년 4개월의 시간동안 공사가 지향할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고 변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그 결과 다양한 업무와 사업을 수행하면서 많은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성과의 열매는 국내·외의 다양한 표창과 공인인증 등의 결과로 나타났다.

=불안정한 대외여건 속에서도 물동량 2,195만TEU(전년대비 1.1% 증가), 환적물동량 전년대비 1.3% 성장한 1,162만TEU 처리

=해외사업 진출 원년 마련 : 로테르담 물류센터 개발·운영으로 글로벌 물류 플랫폼 확보(로테르담항만공사와 물류센터 부지임대차 계약 체결(‘19.6) 및 임대·위탁운영사 선정 완료(’19.12))
=「IAPH 지속가능성장(WPSP) Awards 어워드」수상(‘19.5월, 국제항만협회(IAPH))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국제항만협회의‘2019 IAPH 지속가능성장 어워드’에서 부산항이 지역사회공헌 부문 최우수항만으로 선정
 * 북항재개발지역內 유휴부지에 수영장·야영장·족욕장 등을 운영하며 사회적 가치를 증진

 =「노사문화 우수기업」선정(‘19.7월, 고용노동부)
 신뢰와 소통기반의 노사문화 및 임직원의 ‘일과 삶의 균형’ 정립을 위한 성과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의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
  * 유연근무제도,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장기휴가 등의 제도를 확대 운영 중

 =「대한민국 지식대상」국무총리상 수상(‘19.7월, 행정안전부)

저작권자 © 해사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